이전에 김성종과 최인호의 비슷한 면을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대체로 흥미위주의 소설가라는 점 같은 시기 월남전에 관해 글을 썼다는 정도였다. 김성종은 주로 스파이소설을 많이 썼는데 소설 <잃어버린 왕국>에서 초기 사꼬오라는 군인을 다루는 부분이 김성종 소설과 비슷하다. 최인호가 스파이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는게 흥미롭다.
한 편 그의 창작 인물의 이름 붙이기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보니, 일본을 위해 일하는 여간첩 이수란(李秀蘭)의 경우 이향란(李香蘭)이라는 중일전쟁 당시 일본에서 활동했다 실제 스파이로 체포되었던 유명 여가수에서 따온 것 같다. 소설의 이수란도 나중에 체포되고 만주출신이다. 이향란은 일본식 중국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중일전쟁 때라면 최인호 시대에 자연스레 알기는 어려운 사람인데 어떻게 이 사람 내력을 알고 자기 소설의 모델로 썼을까?
또 아편만 주면 충실한 개가 되는 중국인 끄나풀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는데 실제 중국특무의 대명사 격인 다이리가 아편을 통해 간첩을 양성하는 방법을 연구했단다. 최인호의 스파이소설 부분의 등장인물과 취재는 이런 식으로 되었는 모양이다.
김성종의 제5열 같은 경우도 재일교포 주먹 정건영 같은 사람하고 비슷해서 실존인물을 소설 속 모델로 사용한 것 같다. 참고로 "여명의 눈동자"가 무슨 애국적 희망 같은 의미로 생각했는데 그냥 미인계 여간첩의 대명사 '마타하리'란 뜻일 만큼 스파이소설은 김성종과는 뗄레야 뗄 수가 없다. 솔직히 말이 추리소설가인지 대부분 스파이 소설이다. 80년대 이후론 꽤 점잖은 체 했던 최인호가 스파이작업에 관심을 가졌다는 점이 흥미롭게 느껴진다.
'소설과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광수 (0) | 2017.10.30 |
---|---|
제길, <광장> "이명준"이란 작명 (0) | 2017.05.07 |
최인호 <길 없는 길> (0) | 2016.11.20 |
최인호의 자기모순과 정치정체성 (0) | 2016.11.20 |
내가 문학을 아는가 (0) | 2016.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