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최인호의 정치성향에 대해 의심하는 글을 간단히 썼다. 그의 두 수필집에서 소재를 찾았다. 이번엔 그 이전에 나온 <사랑아 나는 통곡한다>라는 수필집을 읽었다. 정치성향을 알게 해주는 말도 있고 그에 대해 뭔가 시사적인 구절이 있어서 아래 두가지에 대해 써본다.

 

1) 최인호의 정치성향

 

최인호의 정치성향에 대해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이 「한강 다리 아래 한강은 흐르고」란 글이다. 꼼꼼히 읽어볼 필요가 있어보인다. 다만 그 당시 대통령 김영삼에 대해서 그는 '내가 찍은 한 표의 영샘이 아저씨'라고 밝혔다. 당시 대선은 김영삼-김대중 대결구도에 현대그룹의 정주영 씨가 가담한 3파전이다. 삼당합당을 해서 전두환-노태우의 신군부 대통령을 계승한 상태의 김영삼을 찍었던 것이라면 그의 성향이 보수나 온건함에 있다고 봐줄 수 있는 것 같다. 따라서 앞의 수필집에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반감이나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반감은 그런 맥락으로 이해가 간다. 그러나 어디서도 '임상옥'을 들어 아첨하는 듯한 태도는 다른 대통령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그 보다는 할말은 당당히 하고 오히려 내려다 보는 입장 작가적 자존심을 허물지 않고 당당하게 지킨다.

 

2) 자기작품에 대한 모순된 태도

 

어느 순간 부터 최인호는 수필집을 통해 몇가지 '덕담'에다가 자기 책 선전을 하기 시작했다고 나는 얼마 전부터 생각했다. 아닌게 아니라 자신이 그것을 의식하고 있으면서 그것이 독자들에게 '사기'가 될 수 있음을 이 책에서 고백하고 있다. 그러면서 다른 곳에서도 또 자기 책을 홍보하는 모순된 행동을 하고 있다. 과거 내가 올린 바 있는 <지구인>이란 책의 표지 사진을 한 번 더 보자.

 

 

 

'작가는 작품으로써만 응답해야 한다'라는 것이 그의 슬로건이었다. 그래서 그는 초기 책들에서 '작가의 말'따위도 일절 쓰지 않았다고 했는데, 어느 순간 이 태도가 바뀌었다. 그리고 그 후로는 작가의 말이나 수필집을 통한 자기작품 선전이 굉장히 많아졌다. 이러한 것에 대해 이 책에서 이런 변명을 한다.

 

'솔직히 작가가 소설이나 작품 아닌 것으로 자기 자신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전부 거짓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작가가 작품이 아닌 다른 형태로 자신에 대해서 말을 하는 것은 자기 자신을 미화시키는 일종의 사기 행위라는 것을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스스로도 자기의 홍보행위가 '미화'나 '사기'가 될 수 있음을 고백한다. 예전에는 겸손이라고 생각했지만 요즘엔 사실인 것 같다. 특히 눈물짜는 통속소설에 경아가 그립다는 둥 희박한 근거로 자꾸 긍정적으로 이야기 하는 것은 '호스티스 문학으로 비판되었다'는 반론도 소개는 하고 있지만 뭘 모르는 사람을 호도시키고 현혹시키기는 충분하다고 할까. 그래도 최인호 쯤되니 한편으로 사기나 미화가 될 수 있다고 고백한 것이란 생각들도 든다.

 

지금 생각하면 정말 <길없는 길>이 그리 대단한 삶의 진실을 담은 소설인지 뭘로 증명할 수 있을까하는 의심이 든다. 사실 이 작품이 충격적인 것은 무절제하고 병적인 인간을 그리는 취향을 보였던 그가 불도를 닦는 수행자의 모습을 잘 그려낸 점인 것은 분명하여 그를 다시 볼 소지는 있지만, 그 이상의 뭔가는 발견하지 못했다. 역사소설 같은 경우도 애국심이나 민족적 감성에 호소한다. 역사공부에 관한 한 특히 고대사 분야에서 분명히 최인호도 굉장한 지적 성취를 이미 이룬 점은 인정된다. 그러나 그것이 문학적인 완성도나 세계관에 대한 온전하고 체계적 지식을 획득한 것으로 보이지는 않아 보인 제한된 역사지식이다. 그리고 그는 고대사 애국주의를 한국의 교과서에서 설정한 테두리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제도권' 역사소설가였다. 광개토대왕비설은 최근에는 낭설이나 음모론 취급을 받고 이제는 '김일성가짜론'에 비길만큼 삐뚤어진 애국사관으로 취급받는데도 그의 초기 역사소설 <잃어버린 왕국>에서는 그런 보수사관을 답습하고 있다. 우연찮게 당시 이 학설(석회도말론)이 군사정권하에서는 일본비난의 단골소재였다. 그는 신채호의 민족사관까지는 접근하지 않는다. 사실 센세이셔널한 과장적 애국주의에 단골로 등장하는 소설주제로는 매우 달콤한 주제인 우리 영토가 어디까지였다는 것에서 그는 대체로 보수제도권이 설정한 선을 잘 안 넘는다는 것. 사실 이러면 흥행은 더 어려워지지만 '환빠"류의 망상이나 환타지로 빠지지 않는 장점도 있다. 이상이 내가 생각하는 최인호 소설의 일반적인 경향이다.

 

 

 

 

 

 

 

 

 

'소설과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 <잃어버린 왕국>의 등장인물  (0) 2017.04.23
최인호 <길 없는 길>  (0) 2016.11.20
내가 문학을 아는가  (0) 2016.11.10
카톨릭적 죽음  (0) 2016.11.08
어느 젊은 연인들  (0) 2016.10.05
Posted by Alcibiades
,

 

별밤제작진 쪽에서 책을 하나 낸게 있는데 당시에 <별밤백일장>이란 코너가 있었단다. 난 통 기억에 없는데 역시 금요일날 있었단다. 나는 아마 퀴즈프로를 피하기 위해서 금요일 이종환의 프로를 들었다고 했다. 1989년 한 해 주당 200여편  배달되온 편지 중 매주 3편을 후보작으로 방송에 읽어주고 결산으로 장원 한 편 시와 수필에 각 3편의 입선작과 가작을 선정에 총 7편을 선정하였다고 한다. 내 기억엔 없지만 참가한 중고교생들의 문학적 열정이 느껴진다. 하긴 그래서 "문세"가 훗날 '밤의 교육부 장관'이란 칭호로 불리게 되었겠지만. 별밤은 일찌감찌 청소년프로로 정체성 규정을 했던 듯. 지금도 청소년프론지 모르겠다. 이거 쓴 얘들은 보통 그 시간에 주파수 바꾼 것을 생각이나 했을까만 후보작으로 뽑혀도 아마 "게스청바지"를 받았겠으니. '게스'하니 학교에서 글짓기든 뭐든 하면 여기저기 베껴서 뭘 내던 아이들이 생각도 나네. 설마 마지막에 가려진 작품들에는 그런 것이 없겠지. 이 책의 마지막에는 소개된 시 수필 지은이들 응모자들의 이름은 주소까지 소개되어 있다. (전화번호는 없다.) 책에 의하면 년말 성탄전야에 가진 <별밤가족 1990>이란 행사에서 시상을 했는데 당선작 주인공 복장을 보니 그 당시 복장 <응팔> 시대가 생각난다. 아닌 게 아니라 얼굴 사진도 증명사진 크기로 따로 있는데 혜리 이상으로 예쁘시네요.

 

 

 

 

 

 

'메모란덤 별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밤 때문에 못 본 프로들  (0) 2017.01.18
쨈콘서트  (0) 2016.11.20
별밤에 출연한 노무현 대통령과 "빠순이"들  (0) 2016.10.26
별밤 문학 코너  (0) 2016.10.17
삼국연의 다이하드  (0) 2016.10.09
Posted by Alcibiades
,

 

나는 글쓰는 것을 좋아한다. 그런데 솔직히 문학을 전공한 것이 아니고 사실 그에 큰 미련도 없다. 다만 글쓰기를 좋아한 탓에 남보다는 많은 소설을 읽기는 하였으나 지금 생각하면 나는 적잖이 기만당했다고 생각한다.

 

물론 나는 문학에 할애할 시간이 적은 고로 아는 척하기 좋게 몇몇 유명작가의 흥미위주의 글을 많이 읽었다. 그런데 아무래도 그게 화가 된 것 같다. 좀 넓은 시각을 그래도 문학에 관해 가지게 되면 될 수록

 

소위 유명작가라는 자들이 얼마나 국가권력 혹은 모종의 어두운 배후와 강한 유착관계를 형성하고 그에 의해 글을 쓰는지 너무 뒤늦게 깨달았다. 물론 사실인지 아닌지는 모른다. 그러나 분명 우리 사회 주류에서 키워주는 작가들이 있다. 예외없이 그들의 문학이란 대중을 지배하기 권력의 기호에 묶어놓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아닌 척 위장을 하겠으며 그 위장을 위해 자신의 빈곤한 나상에 또 다른 명망가나 사상가 하다못해 꽤나 어려운 지적 고민의 흔적을 피워되는 곰팡이 슨 책들을 기웃거리며 직간접적으로 자신과 그것들을 연관시켜 보이겠지. 

 

군사정권 시절에 대해서라면 이런 말에 이의를 달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그 후의 시대에 이런 말을 연장할 수 있을까. 하지만 지금 달라진 것은 군출신의 정치권력이 경제권력으로 대치된 것 뿐이라고들 한다. 유명작가란 자들은 한마디로 특혜를 받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괜히 한번더 각종 매체를 통해 광고에 나갈 수 있는.... 결코 그런 특혜가 우연과 공짜에 의해 주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독자의 관심과 열성 때문에. 한국 출판시장에 무슨 그런 것이 있나. 아무튼 거의 있지도 않은 독서할 시간을 일부 유명작가들 곁에만 기웃거리던 나는 거의가 원래 문학에 대해 잘 모르는 면도 있지만 그에 관해선 빈껍데기나 다름 없는 자신을 발견할 뿐이다. 나는 솔직히 그 점에 분노하게 되었으며 그래서 이 블로그를 하는 것이다. 방문객들에게는 미안하게도.

 

 

'소설과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인호 <길 없는 길>  (0) 2016.11.20
최인호의 자기모순과 정치정체성  (0) 2016.11.20
카톨릭적 죽음  (0) 2016.11.08
어느 젊은 연인들  (0) 2016.10.05
돈키호테  (2) 2016.09.24
Posted by Alcibiades
,